본문 바로가기

컴퓨터 네트워크

[컴퓨터 네트워크] 4강 프로토콜 계층구조

웹 브라우저, 웹 서버

*웹 문서
원래 인터넷 상에서 문서의 내용을 바로 확인하기 어려웠다. 프로그램을 따로 깔아서 쓰거나 코드를 직접 다 입력해야 하기 때문이다. 
시간이 지나 www가 생겨나면서, 인터넷 상에서 문서의 내용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. 초창기에는 텍스트만 볼 수 있었는데, 웹문서가 만들어지면서 사진,동영상, 글자색상,크기 를 바꿀 수 있게 되었다. 따라서 www와 웹 문서 덕분에 현재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해졌다
*html
웹문서만들때의 기본이 되는것이 html.
클릭한번에 다른 문서나 사이트로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
(하이퍼링크로 여기를 입력해서 네이버로 이동한다는 예)
결론: html은 웹문서를 만들때 사용하고 웹 문서 는 내부에서 링크를 걸 수 있다. 
*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
웹 문서가 저장되어있는 공간: 웹 서버(ex 데스크탑 등)
웹 브라우저: 웹 서버에 접속해서 웹문서를 받아오고 html을 보여줌
즉 웹 서버에 저장된 웹문서를 보여주는 프로그램(microsoft edge)

TCP

데이터를 메시지 형태로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
패킷을 추적 및 관리한다
연결 지향 방식

osi 계층구조

1계층 :물리 계층
전기적, 기계적,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장비
2계층 : 데이터 링크계층
물리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항 안전한 통신의 흐름을 관리
3계층 : 네트워크 계층
라우터를 통해 경로를 선택, 주소 정하고(ip) 경로에 따라 패킷 전달
4계층 : 전송계층
tcp를 이용해서 두 지점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게 해주는 역할
5-7 계층: 세션 계층, 표현 계층, 응용 계층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