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컴퓨터 네트워크

(23)
TCP
06 멀리 았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
[네트워크 기초] 05. 통신하기 전 반드시 필요한 ARP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: 상대방의 IP주소를 통해서 MAC 주소를 알아오는 과정 ARP 프로토콜을 통해서 상대방의 MAC주소를 알아오는 과정 컴퓨터 a로 c의 MAC 주소 알려고 한다. [ Eth | ARP 요청 프로토콜 ] 패킷을 만든다. 이때 목적지 MAC주소는 F(이더넷)/0(ARP)으로 채워둔다. 1. 패킷을 스위칭(2계층장비이다-->2계층까지만 디캡슐화한다)에 전송 2. 같은네트워크대역에 있는 모두에게 보낸다 3. ETH 를 디캡슐화한다. 4. 본인에게 도착한게 확인되서, 3계층 을 디캡슐화 5. 컴퓨터 C는 본인의 IP주소와 일치해서 두고, 나머지 컴퓨터들은 다 버린다. 6. [ETH | ARP응답 프로토콜]을 만든다. 7. 스위칭을 통해서 A에게 전달한다. 8. A는 디캡슐화 하고 [ARP 캐시테이..
[네트워크 기초] 실제로 컴퓨터끼리는 ip주소를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3계층의 기능 3계층에서 하는 일 3계층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 . 즉,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. 서로 다른 lan과 lan 연결.(라우터 필요) 3계층에서 쓰는 주소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ip주소 ip주소 사용할려면 ipv4,서브넷마스크,게이트웨이 주소가 필요하다. 3계층 프로토콜 ip주소를 이용해 mac 주소를 사용하는 arp프로토콜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ipv4 프로토콜 서로가 통신되는지 확인하는 ICMP프로토콜 일반적인 ip주소 classful ip주소 사용 : 범위를 클래스별로 나눈것(128.0.0.0~240.0.0.0 은 어느 범위 등.. a,b,c,d,e클래스로 나뉜다). 필드단위로(.단위)로 구분했음->낭비하는 주..
[네트워크 기초] 가까이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2계층에서 하는 일 -하나의 네트워크 대역(같은 lan 대역)상에 존재하는 장비들 중에서 어떤 장비가 어떤 장비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전달 -흐름제어(누가 누구에게 보내는지)/오류제어 -다른 네트워크대역과 통신할 때는 3계층 대역이 필요하다. -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: mac주소 (6 byte) mac 주소: 제조회사 식별 id+ 고유번호 2계층 프로토콜 목적지 주소: mac주소(6바이트) 출발지 주소: mac 주소(6바이트) : 제조회사 뒷번호: 고유번호 pc ethernet type(2바이트) : 데이터 안에 3계층 프로토콜이 왔을텐데, 미리 알려주는 것(여기에 ipv4이 있다). 즉 상위프로토콜이 뭔지 알려주는 것임. 출처 https://youtu.be/s5kIGnaNFvM
[네트워크 기초] 네트워크 모델의 종류 (응용 프로토콜은 http만 알아두기) tcp/ip(프로토콜기반)가 실무느낌 osi 는 논리적인느낌.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, 패킷 패킷이란? -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통칭하는 말로 단위는 블록이다. 제어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로 이루어진다. -여러번 포장된 상자처럼 순서가있다 -헤더-페이로드(실질적으로 보낼 데이터)-풋터(잘 안 씀) tcp(헤더)-http(페이로드) : 하나의패킷 ipv4(헤더)-[tcp+http](페이로드): 하나의 패킷 ethernet(헤더)-[ipv4+tcp+http](페이로드): 하나의 패킷 캡슐화 -이처럼 페이로드에 프로토콜을 붙이는 과정 -여러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최종적으로 사용. -상위계층에서부터 하위계층 내려가면서 프로토콜 붙인다. 디캡슐화 -데이터 받..
[네트워크 기초] 네트워크란 무엇인가? 네트워크 : 서로 연결되어있는 하나의 통신망 인터넷: 통신망 중에서 가장 큰 네트워크 통신망 네트워크의 분류 크기에 따른 분류 -lan(local area network):가까운 지역을 하나로 묶은 네트워크 -wan(wide area network):멀리 떨어진 지역을 하나로 묶은 네트워크. 가까운 지역끼리 묶인 lan과 lan을 다시 하나로 묶은 것. 연결 형태에 따른 분류 -star형: 중앙 장비에 모든 노드가 연결된 형태. (보통 lan대역의 장비들을 연결시킬 때) -mesh형: 여러 노드들이 서로 그물처럼 연결된 형태. -혼합형:실제 인터넷은 여러 형태를 혼합한 형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 -유니캐스트: 특정 대상이랑만 1:1로 통신하는 -멀티캐스트: 특정 다수와 1:N으로 통신하는 -브로드캐스트:..
[컴퓨터 네트워크] 4강 프로토콜 계층구조 웹 브라우저, 웹 서버 *웹 문서 원래 인터넷 상에서 문서의 내용을 바로 확인하기 어려웠다. 프로그램을 따로 깔아서 쓰거나 코드를 직접 다 입력해야 하기 때문이다. 시간이 지나 www가 생겨나면서, 인터넷 상에서 문서의 내용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. 초창기에는 텍스트만 볼 수 있었는데, 웹문서가 만들어지면서 사진,동영상, 글자색상,크기 를 바꿀 수 있게 되었다. 따라서 www와 웹 문서 덕분에 현재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*html 웹문서만들때의 기본이 되는것이 html. 클릭한번에 다른 문서나 사이트로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 (하이퍼링크로 여기를 입력해서 네이버로 이동한다는 예) 결론: html은 웹문서를 만들때 사용하고 웹 문서 는 내부에서 링크를 걸 수 있다. *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웹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