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계층에서 하는 일
-하나의 네트워크 대역(같은 lan 대역)상에 존재하는 장비들 중에서 어떤 장비가 어떤 장비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전달
-흐름제어(누가 누구에게 보내는지)/오류제어
-다른 네트워크대역과 통신할 때는 3계층 대역이 필요하다.
-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: mac주소 (6 byte)
mac 주소: 제조회사 식별 id+ 고유번호
2계층 프로토콜

목적지 주소: mac주소(6바이트)
출발지 주소: mac 주소(6바이트)
: 제조회사 뒷번호: 고유번호 pc
ethernet type(2바이트) : 데이터 안에 3계층 프로토콜이 왔을텐데, 미리 알려주는 것(여기에 ipv4이 있다). 즉 상위프로토콜이 뭔지 알려주는 것임.
출처
https://youtu.be/s5kIGnaNFvM
반응형
'컴퓨터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 기초] 05. 통신하기 전 반드시 필요한 ARP 프로토콜 (2) | 2023.03.08 |
---|---|
[네트워크 기초] 실제로 컴퓨터끼리는 ip주소를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(0) | 2023.03.07 |
[네트워크 기초] 네트워크 모델의 종류 (1) | 2023.03.06 |
[네트워크 기초] 네트워크란 무엇인가? (0) | 2023.03.05 |
[컴퓨터 네트워크] 4강 프로토콜 계층구조 (0) | 2023.01.31 |